윤석열 파면 지연이 만든 외교 고립, 대한민국은 어디로 가고 있나

반응형

윤석열 파면 지연, 외교도 고립... 대한민국, 국제사회의 외톨이가 되다

   미국 국방장관이 일본은 가도, 한국은 안 온다.
   미국 정보기관 수장도 마찬가지다.
   심지어 외교부 장관 방미 일정도 ‘안갯속’이다.

   이쯤 되면 미국이 한국을 잊은 게 아니라 한국을 피하는 것이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
   2025년 3월 27일, 국회 소통관에서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수석대변인이 브리핑에서 내놓은 말은 꽤 충격적이다.

“내란 수괴 윤석열을 파면하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에서 외톨이가 될 것입니다.”
– 조승래 수석대변인, 더불어민주당 공보국, 2025.03.27


외교 고립, 그 시작은 계엄령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두 달이 지났지만, 한미 간 주요 외교 접점에서는 대한민국이 빠지고 있다.

   미국 정보기관의 고위직 방한 무산, 국방장관의 동북아 순방에서 한국 제외, 외교부 장관의 미국 방문 일정도 정해지지 않음.

   이 모든 상황의 공통점은 바로 하나다.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 지연.

   조 수석대변인은 “한미 관계의 불확실성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며, “사실상 무정부 상태에 가까운 지금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출처: 더불어민주당 공보국, 2025.03.27)


미국이 보낸 신호, 우리가 외면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2023년 12월 3일 비상계엄령을 선포한 이후, 미국은 꽤 분명한 메시지를 보냈다.

   한국의 민주주의와 헌법 시스템에 대한 신뢰, 그리고 “혼란은 정상적인 절차에 따라 수습될 것”이라는 기대감.

그런데 그 믿음, 아직도 보답하지 못하고 있다.
   탄핵안이 가결된 지 100일이 지났지만, 윤석열 대통령은 여전히 파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조 수석대변인은 이 상황을 두고 “어떤 민주주의 국가가 이해할 수 있겠느냐”고 일갈했다.

https://ernstgodspeed.tistory.com/entry/%EC%97%B0%EA%B8%B0%EA%B8%88-vs-%EC%99%B8%EA%B5%AD%EC%9D%B8-%EB%88%84%EA%B0%80-%EB%8D%94-%EA%B0%95%ED%95%A0%EA%B9%8C-%EB%8D%B0%EC%9D%B4%ED%84%B0-%EB%B6%84%EC%84%9D

 

연기금 vs 외국인, 누가 더 강할까? (데이터 분석)

연기금 vs 외국인, 누가 더 강할까? (데이터 분석)   "연기금과 외국인 투자자, 과연 누가 더 강할까요? 주식 시장에서는 이 두 세력이 주도하는 흐름에 따라 주가의 방향성이 크게 달라집니다.

ernstgodspeed.tistory.com

 


외교가 멈췄다, 국가는 표류 중이다

   탄핵이 지연되는 지금의 상황은 단순한 국내 정치 이슈를 넘어섰다.
   외교도, 경제도, 국가 신뢰도도 모두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조 수석대변인은 “내란 수괴와 연결된 대행 체제와는 어떤 나라도 정상적인 외교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니까 지금 대한민국은, 대통령은 직무정지 상태고, 총리는 임명 거부를 계속하며 헌재 구성마저 왜곡하고 있으며, 해외 정상들은 이 정국이 안정될 때까지 거리를 두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국제사회는 대한민국을 지켜보고 있다

   조 수석대변인은 마지막으로 헌법재판소에 강하게 촉구했다.
   “탄핵 선고가 미뤄지는 그 자체가 국제사회에 불신을 주고 있다”고 말하며, “헌재는 즉시 윤석열을 파면하고, 국제사회 신뢰를 회복하라”고 강조했다.

   이제는 헌법재판소가 선택할 차례다.
   지연되는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그리고 이번 지연은, 단순히 내부 혼란을 넘어서    대한민국을 국제사회에서 고립시키고 있다.


혼자 남은 나라가 되지 않으려면

   이 사안은 더 이상 '정치 싸움'이 아니다.
   대한민국의 신뢰, 안보, 외교, 경제 모두가 엮여 있다.

   국제사회는 이미 윤석열 정권의 계엄령 시도를 ‘내란’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도 그 주체가 여전히 법적으로 단죄되지 않은 상태.
   그럼 전 세계는 ‘민주주의 국가 대한민국’을 어떻게 바라보게 될까?

   민주주의는 시스템이다.
   그 시스템이 스스로를 복원하지 못하면, 외부로부터 신뢰를 잃고, 결국은 고립된다.

   지금 대한민국은 그 기로에 서 있다.
   더 늦기 전에, 결단이 필요하다.


https://ernstgodspeed.tistory.com/entry/%EA%B2%BD%EC%B0%B0%EC%9D%B4-%EC%8B%A0%EA%B3%A0-%EC%A0%91%EC%88%98-%EC%95%88-%ED%95%B4%EC%A4%84-%EB%95%8C-%EB%8C%80%EC%B2%98-%EB%B0%A9%EB%B2%95-%EC%8B%A0%EA%B3%A0-%EA%B1%B0%EB%B6%80-%EB%8C%80%EC%9D%91%EB%B2%95

 

경찰이 신고 접수 안 해줄 때 대처 방법 (신고 거부 대응법)

경찰이 신고 접수 안 해줄 때 대처 방법 (신고 거부 대응법)“분명히 피해를 봤는데 경찰이 접수를 안 해준다고요?”   경찰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첫 번째 대응 기관입니다. 

ernstgodspeed.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