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 정보 / / 2025. 4. 14. 17:18

통상임금 산정 시 상여금, 과거 기준일까 미래 기준일까?

반응형

통상임금 산정 시 상여금, 과거 기준일까 미래 기준일까?

직장에서 통상임금을 산정할 때, 상여금이 포함될 수 있는지 여부는 임금 분쟁에서 중요한 논점이 됩니다.
특히 명절상여금처럼 조건이 붙은 지급 방식일 경우, 어떤 기준으로 통상임금에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상여금이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는 조건과, 과거 기준 또는 미래 기준 중 어떤 것이 적용되는지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사례 설명

A 회사는 연봉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연봉 기간은 3월 1일부터 다음 해 2월 28일까지입니다.
월 기본급은 매월 지급되며, 설과 추석에 각각 기본급의 50%를 재직자에 한하여 명절상여금으로 지급합니다.

A 근로자의 경우

  • 2025년 3월 25일 기준 월 기본급: 300만 원
  • 과거 1년간 명절상여금 지급액 합계: 270만 원
  • 향후 1년간 명절상여금 예정액 합계: 300만 원

이 경우 통상임금은 다음 두 방식 중 어떤 것이 맞을까요?

https://ernstgodspeed.tistory.com/entry/%EB%B6%80%EC%97%85%C2%B7%EC%95%8C%EB%B0%94-%EC%86%8C%EB%93%9D-%EC%8B%A0%EA%B3%A0-%EC%95%88-%ED%95%98%EB%A9%B4-%EB%B2%8C%EA%B8%88-%EC%84%B8%EA%B8%88-%EC%8B%A0%EA%B3%A0-QnA-%EC%99%84%EC%A0%84%EC%A0%95%EB%B3%B5

 

부업·알바 소득 신고 안 하면 벌금? 세금 신고 QnA 완전정복

부업·알바 소득 신고 안 하면 벌금? 세금 신고 QnA 완전정복 “주말 알바 조금 했는데 이것도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부업으로 받은 돈, 현금이면 들키지 않겠죠?” “신고 안 해도 괜찮

ernstgodspeed.tistory.com

 


1안과 2안

1안: 300만 원 + (270만 원 ÷ 12개월) = 322.5만 원
2안: 300만 원 + (300만 원 ÷ 12개월) = 325만 원


결론

1안(322.5만 원)이 정확한 방식입니다.


이유: 통상임금은 ‘지급이 확정된 금액’만 반영

대법원 판례와 고용노동부의 행정지침은 통상임금의 세 가지 요건을 강조합니다.

  1. 정기성: 일정한 주기로 지급되는가
  2. 일률성: 모든 근로자에게 지급되는가
  3. 고정성: 지급 여부가 확정적인가

명절상여금은 일정한 주기로 지급되지만, 지급 당시 재직 중일 경우에만 지급되는 조건이 붙어 있습니다.
이런 경우 고정성이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향후 지급 예정 금액은 통상임금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판례 참고

  • 대법원 2013다89399 전원합의체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만이 통상임금으로 인정된다.
    재직 조건 등으로 지급이 확정되지 않은 임금은 통상임금에서 제외한다.”

실무 기준

통상임금 산정일을 기준으로 볼 때,

  • 과거 1년간 지급된 명절상여금의 월 평균치만 포함
  • 향후 1년간 예정된 상여금은 지급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외

예를 들어, 2025년 3월 25일 기준이라면
→ 2024년 3월부터 2025년 2월까지 지급된 명절상여금을 12개월로 나눈 평균만 포함합니다.


정리

항목포함 여부이유
과거 1년간 지급된 상여금 (270만 원) 포함 지급 확정, 고정성 충족
향후 1년간 예정 상여금 (300만 원) 제외 지급 미확정, 고정성 불충족

따라서 통상임금은
300만 원(기본급) + 22.5만 원(상여금 월 평균) = 322.5만 원이 정확한 계산 방식입니다.


마무리

통상임금 산정은 단순한 수치 계산이 아니라, 지급 요건과 시점, 고정성 여부에 따라 판단되어야 합니다.
명절상여금처럼 조건이 붙은 항목은 실제 지급이 확정된 시점까지만 통상임금에 반영할 수 있으며,
예정된 금액은 포함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https://ernstgodspeed.tistory.com/entry/%EC%84%B8%EA%B8%88-%EA%B0%90%EB%A9%B4%EC%9D%B4-%EB%AD%90%EA%B8%B8%EB%9E%98-%ED%83%88%EC%84%B8-%EC%95%84%EB%83%90-%ED%95%A9%EB%B2%95-%EC%A0%88%EC%84%B8-%EC%A0%84%EB%9E%B5-%EC%95%8C%EB%A0%A4%EB%93%9C%EB%A6%BD%EB%8B%88%EB%8B%A4

 

세금 감면이 뭐길래? 탈세 아냐, 합법 절세 전략 알려드립니다

세금 감면이 뭐길래? 탈세 아냐, 합법 절세 전략 알려드립니다 “세금 감면 받았다는 사람도 있던데, 이거 불법 아니에요?” “합법적으로 세금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실제로 있긴 한가요?” 

ernstgodspeed.tistory.co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